codehaus.org 프로젝트에 보면, ActiveMQ와 연계되는 프로젝트에 Lingo와 jencks 라는 것이 있다.
1년전 MQ들의 통합과 이들을 다시 ESB기반의 Open 제품과 사용제품과 함께 통합할 수 있는
것을 만들어보고자, Spring 기반에서 고민한 적이 있는데, 현 시점에는 이들이 그것을 가능케해주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할 수 있을 듯하다.
Geronimo에 포함되어져 있어 앞으로도 계속 업그레드되어지리라 보여진다.
두 프로젝트 모두, 개인적으로 좋아라하는 james strachan 이 프로젝트 리더로 이끌고 있다.
Lingo :
[CODE] JMS기반위에 Spring Remoting을 구현한 녀석으로, JMS를 사용면서 POJOs의 뒤로 JMS의 사용을 숨길 수가 있다. (다시 말해서, 원격지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 Spring을 사용(Spring Remoting)하여, JMS의 사용에 대한 부분은 캡슐화 시켜준다.) [/CODE]
Jencks :
[CODE] Spirng을 내에 JMS와 JDBC pooling을 이용하여 Message Driven POJOs를 구현한 녀석으로 (lightweight JCA 컨테이너와 Resource Adapters를 사용한다.), EJB를 사용하지 않으며, MDB와 같은 역할을 한다. [/CODE]
1년전 MQ들의 통합과 이들을 다시 ESB기반의 Open 제품과 사용제품과 함께 통합할 수 있는
것을 만들어보고자, Spring 기반에서 고민한 적이 있는데, 현 시점에는 이들이 그것을 가능케해주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할 수 있을 듯하다.
Geronimo에 포함되어져 있어 앞으로도 계속 업그레드되어지리라 보여진다.
두 프로젝트 모두, 개인적으로 좋아라하는 james strachan 이 프로젝트 리더로 이끌고 있다.
Lingo :
[CODE] JMS기반위에 Spring Remoting을 구현한 녀석으로, JMS를 사용면서 POJOs의 뒤로 JMS의 사용을 숨길 수가 있다. (다시 말해서, 원격지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 Spring을 사용(Spring Remoting)하여, JMS의 사용에 대한 부분은 캡슐화 시켜준다.) [/CODE]
Jencks :
[CODE] Spirng을 내에 JMS와 JDBC pooling을 이용하여 Message Driven POJOs를 구현한 녀석으로 (lightweight JCA 컨테이너와 Resource Adapters를 사용한다.), EJB를 사용하지 않으며, MDB와 같은 역할을 한다.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