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head>
<title>Select의 값을 iframe으로 불러오는것</title>
</head>
<body>
<select onchange="window.open(value,'iframe')">
<option selected>리스트보기</option>
<option>---------------------</option>
<option value="01.htm">1</option>
<option value="02.htm">2</option>
<option value="03.htm">3 </option>
</select><br>
<iframe src="about:blank" frameborder=1 name=iframe></iframe>
</body>
</html>
에서.. onchange="window.open(value,'iframe')"는 select태그에 효과가 나는 이벤트이며, =의 뒤에있는것은 속성들입니다.
window.open()는 윈도우를 열겠다는것이고, value 는 option태그에 있는 value의 값을 넣겠다는뜻..
그리고 iframe는 iframe의 name의 값입니다.
<head>
<title>Select의 값을 iframe으로 불러오는것</title>
</head>
<body>
<select onchange="window.open(value,'iframe')">
<option selected>리스트보기</option>
<option>---------------------</option>
<option value="01.htm">1</option>
<option value="02.htm">2</option>
<option value="03.htm">3 </option>
</select><br>
<iframe src="about:blank" frameborder=1 name=iframe></iframe>
</body>
</html>
에서.. onchange="window.open(value,'iframe')"는 select태그에 효과가 나는 이벤트이며, =의 뒤에있는것은 속성들입니다.
window.open()는 윈도우를 열겠다는것이고, value 는 option태그에 있는 value의 값을 넣겠다는뜻..
그리고 iframe는 iframe의 name의 값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