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MI(Secure Digital Music Initiative)
http://www.sdmi.org/

인터넷 음반업체 컨소시엄인  SDMI(Secure Digital Music Initiative)는  음악파일 포맷개발과 판매방식 개선 등 디지털 음악파일과 관련한 업계 표준화를 추진하는 목표를 가지고 미국 음반산업협회(RIAA)에 의해 구성되었다.

 이 조직은 세계 DRM 분야 표준활동에 중심적인 역활을 하고 있다.  SDMI가 추구하고 있는 스크리닝 테크놀로지의 근간은  워터마킹 기술이다. 워터마킹 기술은 저작권을 강제화 할 수 없다는 점 때문에 최근에는 사후 저작권 침해 추적을 위한 용도로 역활이 축소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그 안전성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어 기술 표준 작업에는 커다란 차질이 생기고 있다.


 C넷, 뉴욕타임스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프린스턴 대학의 에드워드 W 펠튼 박사 연구팀은 최근 풀어낸 4가지 워터마크 스킴 공개 계획에 대해 SDMI(Secure Digital Music Initiative)가 법적 대응을 경고해옴에 따라 이를 철회하였다.

 이번 문제제기는  제록스 팰러앨토연구소센터와 라이스대학 과학자들을 포함한 펠튼 박사팀이 SDMI가 디지털음악저작권보호시스템 테스트를 위해 지난해 9월 개최한 콘테스트에 참여해 워터마크의 스킴을 풀어내면서 시작됐다. 펠튼 박사는 이후 웹사이트( http://www.cryptome.org )에 크래킹 과정을 올려 놓은 데 이어 피츠버그에서 열리는 제4회 국제정보은폐워크숍에서도 이를 공개할 계획이었다.



 이에 대응해 SDMI는 서기인 메튜 오픈하임 명의의 편지를 펠튼 박사에게 보내 크래킹 내용을 공개할 경우 98년 제정된 디지털밀레니엄지적재산권법을 앞세워 법적 대응에 들어갈 방침임을 알렸었다.
 비록 SDMI가 펠튼 박사의 공개 계획을 저지하기는 했지만 체면은 구겨질 대로 구겨졌다. 이번 사건을 통해 이론상으로는 사운드나 이미지의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제거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진 워터마킹 기술이 완벽한 보안을 보장해주지 못한다는 점이 밝혔지게 됐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자 전문가들은 워터마킹은 불법적인 재생산을 막기 위한 목적보다는 콘텐츠의 추적에 더 알맞다고 지적하고 있다. 사용자가 키를 갖고 있지 않으면 파일을 뒤섞어 복제를 막는 암호화와는 달리 워터마킹은 파일의 불법사용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없다는 점 때문이다.
 워터마크의 취약점이 잇따라 발견되자 히타치, 매크로비전, NEC, 필립스일렉트로닉스, 파이어니어, 소니 등 가전 업체들은 최근 디지털워터마킹 기술에 기반을 둔 새로운 비디오 복사방지 스킴을 만들기 위해 협력키로 하고 비디오워터마킹그룹을 구성하고 나섰다.






***** 아름다운프로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 +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3-12-18 17:01)
Posted by 아름프로
BLOG main image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539)
이야기방 (19)
토론/정보/사설 (16)
IBM Rational (9)
U-IT (0)
SOA/WS/ebXML (110)
개발방법론/모델링 (122)
J2SE (34)
J2EE (60)
DataBase (39)
Open Projects (30)
BP/표준화 (50)
Apache Projects (15)
Web/보안/OS (22)
Tools (7)
AJAX/WEB2.0 (1)
Linux/Unix (1)
영어 (0)
비공개방 (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