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ECS

2003. 6. 24. 23:50
INDECS( INteroperability of Data in E-Commerce Systems)
http://www.indecs.org   - <indecs>™ Framework Ltd 는 인덱스 결과에 대한 국제적인 확산과 계속적인 개발을 위해 설립된  비영리 단체이다.  2001/09 현재 회원은 Kopiosto, CAL, Editeur, IFPI, MUZE Inc. , IDF 등이 있다

DOI와 별도로 유럽에서는 98년 많은 국제 저작권(Intellectual Property Rights) 관련 단체들이 모여 음반·도서·필름·사진 등의 구별되던 전통적인 디지털 콘텐츠 분야(sectors)의 경계가 디지털 환경에서 무너지고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하였으며, 기존에 추진되어오던 개별적인 저작권 보호 시스템을 통일된 형태의 프레임워크로 추진하자는 데 합의하였다.
98년 11월부터 추진한 INDECS 프로젝트는 99년 4월 1차 초안, 7월에 2차 초안이 제출되었으며, 99년 10월 제네바에 있는 WIPO에서 최종 검토를 거쳐서, 2000년 3월 시드니에서 최종 결과에 대한 평가회의를 끝으로 전체 일정이 종료되었다.
인덱스 프로젝트의 종료는 저작권 사회의 메타 데이터 프레임워크가 끝났다는 표시가 새로운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덱스는 전통적인 메타데이타인 더블린 코아(DC:Dublin Core)와 같은 자원 기술을 가지고 있으나, 인간(법률적·자연적)과 지적재산권 계약 그리고 이들 사이에 연결 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 모델의 기초는 94년에 계획된 CIS와 ISWC, ISAN(International Standard Audiovisual Number)에 대한 ISO의 제안서다.
INDECS는 몇 가지 특징을 갖는다. 첫째 논리적 측면에서는 IFLA FRBR 모델을 사용해 모든 정보 자원을 4가지 형태 중 하나로 규정한다. 즉 원 창작자는 추상적인 작업(Work)을 인식하며 그것을 표현, 또는 공연을 통해 실현한다. 같은 작업이 다양한 형태의 표현을 가질 수 있으며, 각 표현은 실현(Manifestation)을 통해 구체화된다. 즉 공연의 비디오 테이프·CD·인쇄 형태가 그것이다.
실현이 대량 제작될 때 각 실현은 많은 항목에 의해 나타난다. 많은 작업이 하나의 표현과 실현을 가지고 있지만, 성공적인 작업은 많은 장르로, 여러 번 표현되고 여러 번 실현되기도 한다. 그러나 미술 작품과 표본 같은 것은 대량의 실현이 될 수 없다. 이러한 분석은 권리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공해 준다. 예를 들어 음악이나 시청각 CD(실현)는 음악(작업)의 공연(표현) 기록까지도 포함하며 이들은 서로 다른 식별체계(UPC/EAN·ISRC·ISWC)와 메타데이타 그리고 다른 권리 소유자를 발생시킬 수 있다. 참고적으로 작업에 대한 식별자로는 ISWC·ISAN·PII·DOI 등이 있으며, 표현에 대한 식별자로 ISRC·UMID·DOI 등이 있으며, 그리고 실현에 대한 식별자로 ISBN·ISSN·UPC/EAN·DOI 등이 있다.
인덱스 모델의 두 번째 특징으로 저작권(IPR:Intellectual Property Rights) 처리에 있다. 즉 인덱스 모델은 정보 자원에 대한 소유권 이전 가능성과 다양한 역할을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작업에 대해 누가 표현(공연)하고, 실현하고, 제작하고, 소유하고 있는가만으로 충분하지가 않다. 작업·표현·실현 항목에 관한 부분 인용·변형·사용·편집을 포함한 시공간상의 권리 관리를 지원해야 하며, 재생산 권리·통신권·공연권·전송권·편집권·방송권·배포권·공중 전달권·통합권·전시권 등을 포함하는 권리가 처리되어야 한다.
인덱스 모델의 또 다른 특징은 상거래 트랜잭션에 대한 투명한 정보를 제공한다. 모든 트랜잭션은 이벤트로 자동 처리되며, 발생되는 트랜잭션 정보가 누적 기록됨으로써 금전등록기와 같은 역할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거래 정보는 저작자를 위한 로열티 배분을 분명하게 해주며 향후 세금 부과, 법적 문제 해결 자료 그리고 사용 통계 등을 추출하는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상거래의 과세는 많은 나라에서 유보한 상태지만 OECD는 최근에 국제간 전자상거래의 과세를 권고하고 있고, 중국·일본 등은 이미 조사작업을 착수한 것을 보면 인덱스와 같은 체계는 전자상거래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인덱스 기술은 기존의 CISAC·BIEM·FIAPF·EBU·SMPTE·AEPO·IFLA·OCLC·EDITEUR·IPA·STM·FEP·NFAIS·IFMP·IFPI 등의 단체에서 제안하는 식별자 또는 메타데이타와 호환성을 갖게 설계되었으며, 특히 교환을 위한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모델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현재 이슈화되고 있는 MPEG-7, MPEG-21의 권리와 상거래에 대한 보완적 요소를 제공하고 있다.
INDECS의 가장 중요한 파트너는 DOI 관리 및 보급을 담당하는 IDF다. 그것은 DOI가 전자상거래에서 식별자와 위치 정보, 저작권 소유 기관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고, 인덱스는 저작물의 카탈로그 정보, 계약 정보, 거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상호보완적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며, DOI는 미국에서 인덱스는 유럽에서, 또한 유사한 시기에 진행중인 프로젝트기 때문이다.
DOI는 99년 NISO 표준으로, 99년 7월 W3C에 제출된 형태의 기술이며, INDECS는 99년 9월 국제저작권협회(WIPO)의 검토를 거쳐 ISO/IEC, W3C에 제출되었다.
2000년 3월 인덱스 3차 평가회의에서 발표한 Chris Barlas의 발표 내용에는 유럽의 EDItEUR 기관이 INDECS의 응용 모델로 EPICS( http://www.bic.org.uk ) 개발해 3월중에 제공하고, 최근 인터넷서점이 아마존에서는 미국출판문화협회와 공동으로 Onix(On-line eXchange)라는 INDECS 부분 집합을 가진 시스템을 개발중이라고 발표하였다.
INDECS, DOI 그리고 관련법인 WCT는 현재 저작권 단체들이 만들어 놓은 다양한 법적·기술적·경제적 구조를 디지털 사회에서 보장 받기 위한 체계로 매우 중요한 기술적 사항이다.  

디지털콘텐츠식별자(DOI) 관련 공인인증기관(RA)인 엔피아시스템즈(http://www.enpia.co.kr)는   DOI시장 활성화를 위해 ‘DOI RA 운영센터(DROC)’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 아름다운프로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 +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3-12-18 17:00)
Posted by 아름프로
BLOG main image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539)
이야기방 (19)
토론/정보/사설 (16)
IBM Rational (9)
U-IT (0)
SOA/WS/ebXML (110)
개발방법론/모델링 (122)
J2SE (34)
J2EE (60)
DataBase (39)
Open Projects (30)
BP/표준화 (50)
Apache Projects (15)
Web/보안/OS (22)
Tools (7)
AJAX/WEB2.0 (1)
Linux/Unix (1)
영어 (0)
비공개방 (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

Total :
Today : Yesterday :